본문 바로가기

백미러의 자동차/자동차 돋보기

신형 아반떼의 의문스러운 가격설정

요즈음 논란이 되었던 신형 아반떼의 가격과 인테리어가  공개되었습니다.
인테리어 디자인은 스파이샷에 나왔던 것 보다는 마무리가 확실히 좋아졌는데요. 바람의 흐름에서 다온 윈드크래프트라는 컨셉을 역시 최대한 반영한 곡선의 디자인이 주류를 이루고 있습니다.
과거에도 이야기 했었지만, 이러한 곡선을 주로 활용한 익스테리어나 인테리어의 디자인은 대중적인 거부감도 들 수 있겠지만, 새로운 디자인 시도라는 면에서는 실험적이면서도 긍정적인 점수를 주고 싶습니다.




역시 신형 아반떼에서 가장 중요한 이슈는 가격이었는데요.

디럭스(DELUXE) 1,490 ~ 1,540만원, 럭셔리(LUXURY) 1,650 ~ 1,700만원, 프리미어(PREMIER) 1,800 ~ 1,850만원, 톱(TOP) 1,900 ~ 1,950만원에서 결정될 예정이라고 공식발표하였습니다.
각 그레이드별로 50만원 정도의 버퍼를 두고 공식발표를 했는이 점을 보더라도, 현대자동차가 이번에는 가격이란 부분에 대해서 과거보다는 민감하게  접근을 한다는 점을 보여주는 것 같습니다.

가격을 좀 세부적으로 볼까요?
구형아반떼와 비교하여 봤습니다.  현대차에서는 신형 아반떼에는 사이드/커튼 에어백이 기본장착되어 있다고 발표하였기때문에 동등비교를 위해서 사이드/커튼에어백 옵션(61만원)을 포함시킨 가격도 같이 비교하였습니다.

의문스러운 점을 발견했습니다.

각 그레이드의 명칭(디럭스/럭셔리/프리미어)상 옵션의 수준이 비슷하다는 것을 가정한다면 사이드/커튼 에어백을 포함 비교시 의외로 어떤 그레이드는 가격이 인하되었고, 어떤 그레이드는 약간 인상되었습니다. 그런데 TOP 그레이드를 추가로 두어 최고그레이드의 가격인상폭이 커지는 효과가 나왔는데요.

이렇게 된다면 현대자동차에서는 굳이 가격인상에 비판을 받지 않아도 될 정도의 수준인데 왜 TOP이라는 그레이드를 만들어 최고가가 인상했다는 비판의 여지를 남겨 놓아야 했을까요?
마케터 입장으로 봤을때는 이해가 가지 않는 점입니다.

 - 아반떼 구형/신형 가격비교표(자동변속기 기준)


차라리 구형 아반떼와 동일한 그레이드 체계로 갔었다면 언론에 이슈메이킹 하기도 쉬웠을 것이고  시장에 훨씬 수월하게 메시지를 던져줄 수 있었는데요.

그레이드별로 옵션수준이 구형과 상이하다면 분명 다시 가격분석을 해야겠지만 보통 동일한 그레이드 명칭을 썼다는 점을 가지고 매칭하면 현대차는 이번에는 과거처럼 인상한 수준은 결코 아니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오히려 프리미어 그레이드는 인하를 했죠.
그러나 TOP 이라는 그레이드를 만들어서, 굳이 받지 않아도 될 비판의 여지를 남기고 있습니다.

현대자동차에서는 재경본부에서 가격설정은 한다는 이야기도 들렸는데요.
이번에는 재경본부에서 설정한 목표치를 영업현장의 목소리를 일부 수렴하여 조율하여 나온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여기까지는 좋았으나 그레이드 패키징에서 좀 더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하여 이번에는 아예 가격이슈에서 자유스러웠으면 하는 아쉬움을 남기네요.



신형 아반떼의 가격논란은 결국 이 정도의 수준에서 발표가 됨에 따라 준중형차 시장의 격전을 예고 하게 되었습니다.
신형 아반떼의 차별화 포인트는 역시 GDI엔진의 효율(140마력, 17kgm)과 6단자동 변속기의 탑재, 그리고 연비(16.5km/L)입니다. 이러한 엔진성능과 효율은 분명 준중형 시장의 경쟁의 수준을 올리는것에는 분명 기여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경쟁 메이커에서도 많은 준비를 해야 할 것으로 보이는데 다른 준중형차들의 페이스리프트가 어떻게 될지도 기대가 되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