쏘나타 뉴 라이즈 시승회를 다녀왔습니다.
LF쏘나타가 출시된지 3년이 지났는데요, 그 이후 쉐보레 말리부, SM6등과 같은 중형차 시장내 경쟁자가 흥행몰이를 하면서 LF쏘나타의 입지가 흔들렸었죠.
그 덕에 쏘나타의 페이스리프트 모델은 꽤 많은 변화를 주며 나왔습니다. 언뜻보면 풀체인지된 쏘나타인 것처럼 보이니 말이죠.
시승회는 일산 제이스하우스, 시승행사를 위해 도열해 있는 쏘나타 뉴라이즈 차량들은 주로 2.0 가솔린 모델, 몇몇 차종은 2.0 가솔린 터보 모델들이 배치되어 있었습니다.
쏘나타 뉴라이즈는 기존 LF쏘나타보다 헥사고날을 발전시킨 캐스캐이딩 그릴을 채용하면서 좀 더 입체적인 라인을 도입해서 스포티한 모습을 추구했습니다. 더 젊어진 쏘나타가 된 느낌이죠.
2.0 CVVL모델과 2.0터보 모델의 차이는 그릴과 범퍼하단 립과 램프 디자인 등에서 차별을 두었는데요. 확실히 터보 모델이 고성능의 이미지를 가져가기에 더 적절한 모습입니다.
후면으로 가면 더 젊어진 쏘나타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번호판을 아래로 내리면서 단순미를 추구한 디자인에 람보르기니에서 볼 수 있었던 면발광 형상의 리어램프를 채용해서 스포티한 쏘나타를 완성시킨 것이죠.
자, 쏘나타 뉴라이즈의 디자인을 본다면, 확실히 스포티한 마스크와 후면디자인, 그리고 보닛의 높이를 낮추면서 운전석에서의 개방감을 높임과 동시에 날렵한 프로포션으로 가져간 것을 알 수가 있습니다.
분명히 스포티한 측면으로의 진화에서는 점수를 줄 수 있겠는데요. 다만 중형차가 가져가는 볼륨감이나 중형급의 품격을 가져가기에는 급이 낮아보인다는 반대효과가 있을 수 있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아무래도 현대차가 최근 그랜저IG도 위에 아슬란의 고려해서 기존에 준대형이 가져갔던 상위 포지셔닝에서 좀 더 대중적인 모델로 다운 포지셔닝 시키는 경향이 있었는데, 이번 쏘나타 뉴라이즈도 그런 흐름이 반영된 느낌이 있습니다.
물론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 다르게 느끼겠지만 스포티함을 원하는 소비자에게는 좋은 반응을, 중형차의 무게감을 원했던 소비자에게는 살짝 아쉬움을 남길 수도 있겠습니다.
실내에 대해서도 디테일한 변화를 시도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요.
스티어링휠의 디자인이 바뀌고, 센터페시아의 송풍구와 네비게이션 프레임, 공조장기와 인포테인먼트 콘트롤 부위가 다 입체적으로 바뀌었죠.
LF쏘나타의 밋밋한 내부 디자인을 좀 더 입체감있게 보이는 변화를 시도한 것이죠.
또한 모카브라운/버건디와 같은 돋보이는 내장컬러를 선택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번 쏘나타 뉴라이즈는 단순히 디자인만 변경한 것은 아닙니다.
공기청정모드와 같은 시의적 이슈(황사,미세먼지)를 대응하는 사양을 적용하고 현대차의 주행편의/안전시스템인 '스마트센스'를 도입한 점 등에서 확실히 국내시장에서 상품패키징을 잘한다는 것을 이번에도 보여주었습니다.
자, 이번 쏘나타 뉴라이즈 상품을 담당하는 여환채 대리의 상세하고 열의에 찬 프리젠테이션을 듣고 직접 시승을 나섰습니다.
이제 현대차도 LF쏘나타 이후에 나오는 차들은 170~180km/h의 속도에서도 안정감이 부족하지 않습니다. 조타감도 이제는 무난한 편이구요.
이 날도 초고속주행에서 차분함이 돋보인다 정도까지는 아니나 불안감 없이 조향을 할 수 있는 충분한 안정감을 보여주었습니다.
2.0 CVVL 모델의 경우 6단 변속기 채용은 그대로 6단이 유지되었으나 변속기가 개량이 된 것으로 들었는데요. 체감적으로 큰 차이를 느낄 수는 없었습니다.
그런데 미션의 각 단 별로 엑셀링을 했을때 TCU가 예전보다 매끄러운 반응으로 이어주는 것을 찾아볼 수 있더군요.
( 2.0터보 모델의 경우 8단 변속기로 변경 )
또 하나 발견한 것은 스마트센스 기능이 적용되면서 쏘나타 뉴라이즈에 들어간 LKAS(주행조향보조시스템)는 제네시스에 적용된 초기 LKAS보다 좀 더 개량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구요.
( 양쪽 차선을 퉁퉁치는 것이 아니라 부드럽게 좌우를 걸치면서 조향보조하는 것을 볼 수 있더군요 )
그리고 이날도 미세먼지 때문에 뿌연 하늘로 뒤덮인 날이었는데, 최근 공기에 대한 민감도가 올라간 상황에서 발빠르게 내놓은 공기청정모드는 특히 여성들에게 환영받을 기능으로 평가할 만 했습니다.
( 내기순환모드를 길게 누르면 작동하여 공기청정기능이 활성화된 다음 자동으로 OFF됩니다 )
자, 정리해보면
쏘나타 뉴 라이즈를 통해서 아래와 같이 몇가지 현대차의 의지를 느낄 수 있었는데요.
1. YF쏘나타의 급진적인 디자인 변화와 비교할 때, LF쏘나타의 너무 차분한 디자인이 현재 경쟁시장에서는 '마이너스(-)'라고 판단하고 좀 더 주목도가 높은 쪽으로 디자인 경험을 가져갈 것임
2. ADAS와 같은 운전자 보조시스템을 전 모델 라인업에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ADAS 편의성을 부각시키려는 사실
3. 여러 옵션사양을 타겟별 패키징하고 공기청정모드와 같은 새로운 사양을 내놓아 사양우위를 지속적으로 가져가려고 하는 사실
개인적으로 느낀 것을 정리해 보면, 이제 현대차가 엔진효율, 주행감성, 디자인, 각종 사양 등 여러 분야에서는 이제 부족하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이 별로 없다는 생각이 듭니다. 전체적으로 보면 꽤 경쟁력있는 모델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이죠.
그런데 왠지 현대차 모델 어떤 확실한 색깔이나 뭔가 당기는 매력을 물으면 답하기가 좀 애매하다는 생각도 같이 오버랩 되네요.
이런 것들이 아마 현대차가 한단계 올라서기 위해 앞으로 풀어갈 숙제이기도 한 것 같습니다. 아마도 'N'브랜드 같은 것들이 이런 포지셔닝이나 아이덴티티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하네요.
'백미러의 자동차 > 자동차 시승/체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비자 관점으로 풀어본 쉐보레 신형 크루즈 10문 10답 (10) | 2017.05.11 |
---|---|
캐딜락에서의 'V'가 있고 없고의 차이는? ATS-V가 추구하는 고성능 (0) | 2017.04.17 |
럭셔리 크로스오버로 거듭날까? 더 뉴 볼보 크로스컨트리 (0) | 2017.03.23 |
초소형 전기차 르노 트위지, 누구에게 필요한 차인가? (14) | 2017.03.21 |
3천만원대 수입 SUV의 새로운 선택지? 포드 2017 뉴 쿠가 (5) | 2017.02.24 |